매년 시행되는 국민건강검진 꼬박 꼬박 챙기고 계시죠?
2025년부터 일부 항목과 제도에 변화가 생깁니다.
검진 항목이 확대되고, 연령 기준이 바뀌며, AI 기술까지 도입되는데요, 놓치면 손해 보는 변경 포인트만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.
✅ 변경 1. ‘치매 선별검사’ 연령 조정 (만 66세 → 만 65세)
- 기존: 만 66세 이상 2년 주기 시행
- 변경: 2025년부터 만 65세 이상으로 조정
- 📌 치매 조기 진단 중요성 강조 + 1세 조기 적용
- 💡 Tip: 검진 후 이상 소견 시, 지역 치매안심센터로 연계됩니다.
✅ 변경 2. AI 기반 판독 시스템 도입 (시범 적용)
- 2025년부터 AI 보조 판독 시스템 시범 도입
- 검사 항목: 폐 X선, 위내시경 이미지 분석 등
- 의료진과 AI가 협력해 오진률 감소 및 정확도 향상 기대
- ✔️ 참고: AI 판독은 대형 검진기관부터 단계 도입 예정입니다.
✅ 변경 3. 만 40세 이상 ‘정신건강 검진’ 의무화
- 기존: 희망자만 정신건강검사 시행
- 변경: 만 40세 이상 전 국민 정신건강검사 의무화 (우울증 중심)
- 검사항목: 우울증 선별검사(PHQ-9), 필요 시 상담 연계
- 🧠 이유: 40대부터 정신건강 이상률 증가 → 조기 개입 목적
✅ 변경 4. 1차 검진에서 이상 소견 시 2차 검진 강화
- 기존: 1차 검진 이상 시 안내문 수준의 결과 제공
- 변경: 2차 검진 전담 기관 지정 및 통합 관리 시스템 강화
- 의심 질환자 → 추적검사 + 전문병원 연계 + 검진 결과 통합
- 📌 건강검진 앱으로 결과·추적관리 연동 기능도 강화됩니다.
✅ 변경 5. ‘검진 사각지대’ 해소 위한 간편예약 확대
- 지역의료 취약지 대상 모바일 예약 확대
- 보건소 및 중소병원 중심 ‘간편 예약 앱’ 운영
- 비대면 안내 강화 + 문해력 낮은 어르신도 쉽게 예약 가능
- 💬 참고: 네이버·카카오 플랫폼과 연계한 지역 시범사업 중
✅ 2025년 국가건강검진 기본 정보 (변경 없이 유지)
- 📅 대상: 지역가입자·직장가입자 및 피부양자 중 일정 연령 이상
- 📍 검진주기: 2년에 1회 (비사무직은 매년)
- 💰 비용: 전액 국가 지원 (일부 항목 본인부담 있음)
- 🏥 검진기관: 건강보험공단 지정 병·의원
- 👉 건강보험공단 검진안내 페이지 바로가기
📌 신청은 언제? 어디서?
- 📅 검진기간: 매년 1월 ~ 12월 (생년 끝자리 기준 일정 구분)
- 📱 예약방법: 해당 검진기관 직접 전화 / 건강iN 앱 또는 웹사이트
- 🧾 사전 안내문은 매년 우편 또는 문자로 발송됨
✅ 마무리
2025년부터 더 정교하고, 더 정확한 건강검진 시스템이 시행됩니다.
특히 65세 이상, 40대 이상은 검진 항목이 추가되므로 꼭 사전 확인하고 예약하세요!
💬 검진은 조기 발견의 기회입니다. 지금 대상자 여부를 확인하고 예약하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