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국민연금 오를 때, 나에게 이득일까?” 45세 직장인의 현실 계산기

“국민연금 오를 때, 나에게 이득일까?” 45세 직장인의 현실 계산기

💢  보험료는 오르는데, 나에게 진짜 도움이 될까?

2026년부터 국민연금 보험료율이 9%에서 최대 13%까지 오른다고 합니다. 소득대체율도 40%에서 43%로 오른다고 하지만, 매달 납입해야 할 금액은 분명 늘어나게 됩니다.


나는 올해 45세이고, 매달 300만 원의 월급을 받고 있습니다. 앞으로 국민연금을 몇 년 더 납입하게 될 것이며, 65세부터 연금을 받게 됩니다.


**질문은 하나입니다.** “나는 더 내고, 더 받는 것일까? 아니면 손해를 보는 걸까?”


✨ 현실은 만만치 않다

매달 빠져나가는 국민연금 보험료는 월급에서 꽤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. 현재는 9%를 기준으로 내고 있지만, 앞으로 점진적으로 13%까지 올라간다고 하니, 지금보다 약 4%p 더 부담해야 한다는 뜻입니다.


예상 보험료 부담을 미리 확인해보지 않으면, 65세 이후의 수령액에 대한 막연한 기대만으로 잘못된 판단을 하게 될 수 있습니다.


💡 [Solution] 직접 계산해봤습니다

지금부터는 당신의 조건에 맞춰 현실적으로 계산해보겠습니다.

📌 기준 조건

  • 현재 나이: 45세
  • 월급: 300만 원 (기준소득월액)
  • 연금 납입기간: 만 64세까지 20년 (2025년 포함)
  • 납입 보험료율: 2025년 9% → 2026년부터 점진적 인상 → 2033년 13%
  • 소득대체율: 기존 40% → 43% 상향 반영

📊 연도별 보험료율 추이 예측 (2026~2033)

연 0.5%p씩 인상 시나리오 기준 (추정)

연도보험료율월 납입금액연 납입금액
20259%270,000원3,240,000원
20269.5%285,000원3,420,000원
202710%300,000원3,600,000원
202810.5%315,000원3,780,000원
202911%330,000원3,960,000원
203011.5%345,000원4,140,000원
203112%360,000원4,320,000원
203212.5%375,000원4,500,000원
2033~204413%390,000원4,680,000원

🧮 총 납입금 계산 (20년)

점진적 인상 시 평균 보험료율은 약 11%로 추정되며, 연 평균 납입금 약 3.96백만 원 × 20년 = 약 7,920만 원 납부 예상

💰 예상 연금 수령액 (65세부터)

소득대체율 43% 기준 월급 300만 원의 43% = 129만 원/월 수령 예상

  → 연간 약 1,548만 원 수령

  → 평균수명 85세까지 수령 시 

총 약 3억 1천만 원 수령 예상


🎯 결론은? "내가 더 많이 내고, 훨씬 더 많이 받는다"

20년간 약 8천만 원을 납부하고, 65세부터 20년간 약 3억 원 이상을 수령하게 되는 구조입니다.

즉, 단순 수익률로 따지면 3.8배 이상을 돌려받게 되는 셈이죠. 물가 상승률, 국민연금기금의 지속성 등 여러 변수가 있지만, 현재 시점에서 보면 결코 손해가 아닌 구조입니다.


🙌 [Narrowing down] 이런 분들도 꼭 확인하세요

  • 🔹 40~50대 중반, 월 소득 250만 원 이상인 직장인
  • 🔹 국민연금만으로 노후 대비를 준비 중인 분
  • 🔹 사적 연금 가입이 없어 국민연금에 의존해야 하는 분

🚀 [Action] 지금 해야 할 3가지

  • ✅ 1. 내 예상 연금 수령액 조회하기 → 국민연금공단 내연금 확인
  • ✅ 2. 소득 추이에 따라 임의 추가납입 여부 검토
  • ✅ 3. 연금 외 노후준비 자산 점검하기 (퇴직연금, ISA 등)

✅ 마무리 정리

국민연금 인상은 부담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, 실제 계산해보면 장기적으로 손해가 아닌 구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.

지금 45세인 내가, 65세 이후를 위해 준비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제도, 바로 국민연금입니다. 불안해하지 말고, 정확히 계산하고, 대비하세요!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