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 뉴스나 신문에서 자주 나오는 단어, ‘세수’와 ‘감세’.
얼핏 보면 비슷한 말 같기도 하고, 반대로 전혀 관련 없어 보이기도 하죠.
하지만 이 두 용어는 국가 재정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핵심 개념입니다.
📌 세수(稅收)란?
- 정부가 세금으로 걷는 총수입
- 국민과 기업이 납부하는 소득세, 법인세, 부가가치세, 관세 등 모든 세금이 포함
예를 들어 정부가 1년 동안 소득세로 100조 원, 법인세로 70조 원, 부가가치세로 90조 원을 걷었다면,
이 모든 것을 합친 금액이 바로 연간 세수입니다.
✅ 세수 = 정부가 국민과 기업으로부터 걷은 세금의 총액
📌 감세(減稅)란?
- 세금을 줄이거나 낮추는 정책
- 세율을 인하하는 방식 (예: 소득세율 20% → 18%로 인하)
- 납세 대상자 기준을 완화하는 방식 (예 : 자영업자에게 1년간 부가세 면제)
- 세금 혜택(감면)을 늘리는 방식 (예 : 중소기업 세액공제 확대)
✅ 감세 = 정부가 세금을 낮추는 정책 (→ 세수는 줄어들 수 있음)
📊 세수와 감세, 어떤 관계일까?
감세를 하면 국민과 기업 입장에서는 세금 부담이 줄어들어 좋지만, 정부 입장에서는 세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따라서 감세를 시행할 경우에는 재정 지출을 어떻게 조절할지, 또는 경제성장에 따른 세수 증가가 가능할지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.
📝 마무리
세수와 감세는 경제 기사나 정부 정책 발표에서 자주 등장하는 핵심 용어입니다.
두 용어의 정확한 뜻과 관계를 이해하면, 뉴스 속 숫자와 정책 변화가 훨씬 쉽게 다가올 거예요.
앞으로는 “감세 정책 추진 → 세수 감소 우려” 같은 문장도 더 이상 낯설지 않겠죠? 😊